비오는 밤 애기무덤을 밝히던 도깨비불
장마전선이 좀처럼 북상하지 않더니 밤부터 서울에도 비가 내린다. 남부지방엔 폭우라던데. 창밖을 내다보다가 문득 도깨비불 생각이 났다. 직접 체험했던 도깨비불 얘기를 좀 해보고픈 마음이 든다.
첫 번째 도깨비불은 군 복무 시절이었다. 장마철의 어느 날 밤, 비가 한창 내리고 있었는데 부대 막사 아래 연병장과 헬리콥터 착륙장을 지나 멀리 철책이 있었는데 그 너머 나지막한 산이 온통 도깨비불로 일렁이고 있는 것이었다. 난생 처음 보는 장관이었다. 마치 파도치는 것처럼 넘실대고 있었다. 빗속에 온 산이 타오를 것처럼 환했다. 저녁 자유시간이라 온 부대원들이 바깥에 나가 구경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겁을 먹는 부대원들도 꽤 많았다. 왜냐면 그 나지막한 산은 온통 애기 무덤이었기 때문이다. 평소에도 그 쪽 초소에 나가 야간 경계를 서는 사병들은 꽤나 긴장하곤 했고 또 이런저런 괴소문도 많았는데, 바로 그 애기무덤 언덕이 온통 도깨비불로 타오르고 있으니 그럴 법도 했다.
그렇지만 나 호호당은 전혀 겁을 먹지 않았다. 그저 신기했다. 그러다가 저런 거 그냥 화학현상일 거란 말을 꺼낸 것이 계기가 되어 내기를 걸게 되었다. 가서 도깨비불이 무엇인지 확인하면 내가 이기는 것이고 무서워서 가다가 포기하면 내가 지는 게임이었다. 조건은 내무반 전원이 즐길 수 있을 정도의 맥주 4박스와 과자였다. 흥미를 느낀 야간 당직 하사도 어서 가서 확인하고 오라고 날더러 짓궂게 재촉을 했다.
혼자서 비오는 밤에 애기무덤으로 올라 도깨비불을 채취해보니
나 역시 몹시 궁금했던 터라 판초우의를 입고 철모를 쓰고 랜턴을 들고 혹시나 모르니까 대검까지 허리에 차고 비오는 막사 밖으로 나갔다. 나와 동료사병, 이렇게 두 명이 가기로 했는데 아무도 나서질 않는 것이었다. 하지만 겁나기 보다는 호기심이 앞섰던 나는 개의치 않고 혼자 막사를 나섰다.
그쪽 철책엔 초소만 하나 있을 뿐 출입문이 없었지만 이른바 ‘개구멍’이 하나 있어서 바깥으로 쉽게 나갈 수 있었다. 일단 초소에 갔더니 그곳을 지키고 있던 동료가 너무나도 반가워하는 것이었다. 혼자서 두 시간 동안 지키고 있으려니 무서워 죽을 지경이었는데 내가 찾아가니 얼마나 반가웠을까.
내기를 하는 바람에 왔다고 이유를 밝히니 너 간도 크다 하는 놀라는 표정이었다. 개구멍으로 나가서 애기무덤이 있는 언덕으로 오를 작정인데 그 친구더러 우리 잠깐 같이 다녀오자고 제안을 했더니 말도 되지 않는다는 표정과 함께 고개를 휙-하고 젓는 것이었다.
할 수 없이 혼자서 비 퍼붓는 언덕, 도깨비불 천지인 언덕 위로 끙끙 대며 올라갔다. 워낙 밝아서 랜턴도 사실 필요가 없었다. 그런데 신기한 일이 벌어졌다. 막사에서 애기무덤이 있는 언덕까진 대략 800 미터 거리였고 그 거리에서 도깨비불 하나가 거의 농가 한 채 크기였는데 정작 다가갈수록 불은 점점 더 작아지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도깨비불 앞에 가자 불의 크기는 손바닥 정도 크기로 쪼그라들었다. 그리고 불타오르고 있지도 않았다. 그냥 작고 초록색으로 빛나는 형광빛의 조각이었다. 몇 개 집어서 연병장을 가로질러 막사로 돌아오는 도중에 랜턴으로 살펴보니 그건 뼛조각이었다.
매장된 아기들의 뼈? 아니면 야생 짐승의 뼈? 이런 생각이 들었다. 수백 기의 애기무덤이 있는 곳이니 아마도 아기들의 뼈가 유력했다. 무섭다기보다는 그곳에 묻힌 아기들, 태어나서 얼마 살아보지 그 아기들을 생각하니 가엽다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그리고 환한 내무반 안으로 들어오자 초록으로 빛나던 그 뼛조각들은 잘 기억이 나지 않지만 금방 사라졌던 것 같다. 아무튼 그 일로 인해 나는 부대 내에서 간이 큰 사병으로 소문이 났다. 나로선 전혀 무서운 일도 아니었는데 말이다. 훗날에도 나는 귀신 나온다는 흉가가 있으면 혼자 찾아가 밤을 보낸 적도 두어 번 있다. 귀신을 한 번 보고 싶었던 것이다.
또 다시 만나게 된 비오는 밤의 도깨비불
이제 두 번째 도깨비불 얘기를 해본다.
군 제대 후 동원훈련 때였다. 독수리훈련인가 뭔가 잘 모르겠지만 서울 병력이 졸지에 강원도 인제의 예비사단에 편성되어 훈련을 했다. 야산에 올라 텐트도 치고 낮엔 꽤나 먼 거리의 행군도 했다. 군 복무 중에도 그렇게 심한 훈련은 받아보지 않았는데 이게 웬 고생이냐 했다.
그 때는 1984년의 여름철이었다. 장마철은 지났지만 1주일의 훈련 중에 사흘이나 비가 내려서 애를 좀 먹었다. 비가 오면 판초 우의를 덮어쓰고 산길을 걸어가야 하니 여간 고역이 아니었다. 비닐로 된 우의는 공기가 통하지 않아서 철모 쓰고 장비를 차린 상태에서 산길을 걷다 보면 엄청나게 땀을 쏟아야 한다.
저녁이 되어 야산 사면에 쳐놓은 군용 A텐트로 돌아오니 마치 집에 돌아온 느낌마저 들었다. 그런데 저녁 급식을 마친 직후에 비가 쏟아지는 것이었다. 다행히도 텐트 안은 미리 건초를 잘 깔아놓았고 위치도 좋아서 물이 스며들지 않아 아늑했던 기억이 난다.
그런데 갑자기 여기저기에서 와-하는 함성이 들려왔다. 뭐야? 싶어 바깥으로 나가보니 건너편 산언덕이 온통 도깨비불로 일렁이고 있었다. 이미 군 복무 시절에 도깨비불로 인해 명성을 떨친 바 있었기에 저거 별 거 아니야, 燐光(인광)이야 하면서 잘 알고 있다는 투의 말을 했더니 동료 예비군들의 찬반 양론이 분분했다.
그래서 내가 나섰다. 가서 가져오지요, 그냥 가긴 심심하니 뭘 좀 걸어야 하지 않겠냐고 제안했더니 졸지에 30만원 빵의 게임이 되었다. 아군 30명, 적군 3명, 1인당 만원씩 걸었다. 내가 다녀올 것이니 도깨비불을 가져오면 30만 원 중에서 15만원은 내가 먹는다는 조건이었다. 저편 언덕까지의 거리도 얼마 되지 않았기에 왕복하는데 1시간도 채 걸리지 않았다.
랜턴을 들고 언덕을 올라 도깨비불을 금방 채취해서 돌아왔다. 으레 짐승의 뼈일 것으로 여겼는데 그게 아니었다는 사실. 불빛은 초록의 형광 혹은 인관이었지만 가져와서 다 함께 살펴보니 오래된 나무껍질이었다. 나는 혹시나 해서 그 조각을 간직했다.
그런데 나중에 집에 돌아와 물을 뿌려도 더 이상 그 신비한 초록의 빛을 내지 않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냥 아파트 정원에 던져버렸다. 그저 15만원을 벌었을 뿐이다.
집단이 야지에서 이동하면 사고가 난다.
여담이지만 연대 규모의 예비군 병력이 야지에서 이동하다 보니 안전사고로 인해 무려 3명의 예비군이 사망했다는 점이다. 당시엔 그 정도 뉴스는 보도되지도 않았다.
사망 경위를 보면 허무하다. 훈련을 마치고 땀에 절어서 텐트로 돌아온 예비군이 시원한 개울이 있는 걸 보고 야호-하면서 풍덩 뛰어 들었다가 바로 심장마비로 죽었다. 강원도 인제 계곡의 물은 여름에도 엄청나게 차갑다. 무릎가지 들어가도 견디지 못한다.
또 한 명은 행군 중에 지쳐서 지프차에 실려 갔는데 그 지프차가 어쩌다가 전신주를 들이받았고 그 결과 그 예비군만 튕겨나가서 죽었다. 나머지 한 명은 죽었다는 얘기만 들었을 뿐 자세한 기억이 나지 않는다.
이에 전 예비군이 귀가 교통비로 받은 돈 천원을 박스로 만든 부조함에 넣어 주었다. 예비군이 대략 2천명 정도였으니 2백만 원 정도였을 것인데 당시 1984년으로선 결코 적은 돈은 아니었다.
그때 배웠다. 장병들이 일정 장소에 머물지 않고 장비와 함께 움직이다 보면 안전사고가 난다는 사실을. 이동 자체가 안전사고를 초래한다는 사실.
나라에 대한 배신감
나 호호당은 현역 복무를 했고 동원예비군, 지역예비군, 나중에 민방위까지 착실하게 다 했건만 나중에 그 모든 의무로부터 해제되는 날 국가로부터 감사하다는 쪽지는 물론이고 영화표 한 장도 우송되지 않았다는 사실에 지금도 불쾌해하고 괘씸하게 여긴다. 당시만 해도 우리나라가 가난한 것은 사실이었지만 그래도 국가에 그 정도까지 충성을 다했으면 고맙다는 인사치레는 있어야 할 게 아닌가 말이다.
요즘엔 도깨비불이 보이질 않으니
그런데 요즘엔 비가 내려도 도깨비불을 보았다는 말을 들은 적이 없다. 왜 그럴까, 전국 도깨비들이 전부 다른 나라로 이민을 갔나?
'호호당의 雜學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에 대한 호호당의 생각 (하편) (0) | 2021.08.16 |
---|---|
그림에 대한 호호당의 생각 (전편) (0) | 2021.08.15 |
비오는 밤에 莊子(장자)를 읽다가 (0) | 2021.05.31 |
봄비 오는 날, 허튼 생각에 빠지다 (0) | 2021.04.18 |
봄비 흠뻑 내리니 좋아서. (0) | 2021.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