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목일 앞두고 봄비 넉넉하게 내리니 그야말로 고맙구나. 중국발 먼지들도 말끔히 씻어내겠지! 아파트 창밖으로 내려다보이는 양재천 건너편의 건물들과 빌딩들이 빗줄기 속에 희부옇다. 양재천은 어느새 넘쳐날 참인데 물가 산책로의 벚꽃은 젖어서 더 연분홍이고 수양버들의 신록은 더욱 청신하다.

 

물안개서린 경치를 보고 있노라니 떠오른다. 아, 누구였더라? 多少樓臺煙雨中(다소루대연우중)이란 구절을 남긴 이가? 두목 아님 유종원이었던가? 찾아보니 중국 당나라 시절 杜牧(두목)의 江南春(강남춘)이란 시 마지막 구절이다.

 

강남의 봄, 여기서 말하는 강남은 오늘날 중국의 남경 즉 난징 일대를 말한다. 찾은 김에 시를 소개해본다.

 

江南春(강남춘)

 

千里鶯啼綠映紅 (천리앵제록영홍)

水村山郭酒旗風 (수촌산곽주기풍)

南朝四百八十寺 (남조사백팔십사)

多少樓臺煙雨中 (다소루대연우중)

 

천리에 꾀꼬리 울고 신록의 빛은 붉은 꽃잎에 어리고

강마을 산동네마다 술집 깃발 바람에 나부끼네,

남조의 수도였던 이곳엔 절이 무려 사백팔십 개였다는데

뽀얀 봄비 속에 많은 누각들이 희부옇게 비쳐오네.

 

당시 여관을 겸했던 술집들은 술 酒(주)자를 새긴 깃발을 높이 세워놓고 오가는 길손들을 불렀는데 그 깃발이 강촌이나 산촌 어딜 가나 시원한 봄바람에 나부낀다 말하고 있다. 풍요롭지 않은가? 시인은 그 길을 나귀나 수레를 타고 느릿느릿 지나오면서 술과 음식도 먹고 잠도 잤던 왔던 모양이다.

 

이에 중국의 남북조 시대(南北朝時代: 386~589) 당시 양자강 남쪽에 세워진 南朝(남조)의 수도였던 난징에 도착하니 마침 비가 내리고 있었다, 이에 전망을 볼 수 있는 누대에 오르니 수많은 절들의 탑과 누대들이 뽀얀 안개비속에 흐릿하게 보인다고 적고 있다. 아, 여기가 말로만 듣던 강남의 비내리는 풍경이구나! 하면서. 

 

시인은 중국 당나라 시절의 사람(803년-852년)이다. 통일 이전 양자강 남쪽에 있던 역대 나라들은 문화가 발달했고 불교 또한 융성해서 도읍인 난징-당시엔 건강이라 불렀지만-엔 절이 무려 480개나 되었다는데 시인은 그 찬란했던 문화의 자취를 봄비 속에 되새겨보고 있는 것이다.

 

중국 사람들은 양자강 이남인 강남 일대를 水鄕(수향)이라 부른다. 기온이 따뜻하고 비가 잦으며 안개도 자주 어려서 餘白(여백)의 美(미)가 넘치는 중국 수묵화의 본고장이다. 그 중에서 소주와 항주는 오늘날에도 해마다 봄이면 엄청난 관광객들이 몰리는 명승지이다. 몇 년 전만 해도 소주 항주 3박4일 55만원, 이런 광고가 인터넷에 늘 오르곤 했던 그 소주 항주 말이다.

 

나 호호당은 1994년 4월 경에 중국을 처음 돌아다녔다. 당시 항주에 들렀을 때 호수 사이로 난 제방길로 아침 산책을 했다. 수양버들 신록 우거지고 액면 그대로 꾀꼬리가 울고 대고 있었다. 호반에는 태극권 하는 노인네들도 많이 보였다. 그때 아, 여기가 책에서나 보던 중국의 水鄕(수향) 강남의 정취구나 하고 확인했던 추억이 지금도 새롭다. 그 이후로도 여러 차례 항주를 찾아갔지만 처음의 인상이 가장 강렬하게 남아있다.

 

글을 쓰다 보니 비가 조금 잦아들고 있다. 양재천은 관악산에서 내려온 물로 해서 산책로까지 넘쳐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