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란 것
이런 글을 쓰는 것은 나 호호당 역시 나름의 수채화 작가이기 때문이다. 작년에 전시회를 했으니 그렇다. 올 해 11월에도 할 생각으로 준비 중이다.
나 호호당은 일주일에 그림을 네 장 정도 그린다. 스케치를 포함하면 더 많다. 물론 원하는 종이가 떨어져서 한동안 쉬기도 하지만 그래도 머릿속으론 늘 그림을 그린다. 길을 가다가 문득 멋진 이미지를 만났을 때 카메라가 없으면 기억해두기 위해 한참을 그 장소에 서서 머릿속에 스케치 해둔다.
사진과의 오랜 인연
먼저 사진에 대해서 얘기를 하겠다.
예전에 오랫동안 사진을 찍었다. 내겐 그림이나 사진이나 크게 차이가 없다. 처음엔 아버지께서 물려주신 콘탁스란 독일 카메라였다. 고등학교 1학년 시절, 1971년의 일이었다. 1949년에 만들어진 명품이었다. 초점 잡는 법이 성가셨지만 렌즈가 저 유명한 칼 자이스의 것이라 참으로 좋은 물건이었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돈이 생기자 니콘 FM-2 란 물건을 사서 참으로 장시간 사용했다. 니콘의 장점은 딴 게 아니라 그립(grip)이었다. 손가락 두 개만 걸어도 카메라가 손에서 떨어지지 않았기에 휴대가 정말 편했다.
지금 사람들은 카메라의 원리를 전혀 모른다. 셔터와 조리개, 이 두 가지로 이루어지는 빛과 이미지의 조합이 얼마나 다양하고 무궁무진한지 전혀 감을 잡지 못한다. 기술의 발전으로 카메라가 ‘민주화’되어 버린 것이다. (인류의 역사 자체가 민주화의 역사이긴 하다.)
예전엔 셔터와 조리개의 조합을 수 백 개 외우고 다녔는데
예전엔 어떤 장소와 시각에서 빛의 상태에 따라 조리개 얼마 셔터 얼마를 해야 하는지 수첩에 적어두고 다녔다. 숙달되면 수 백 개의 셔터와 조리개의 조합을 외우고 다녔다.
필름 방식은 찍은 다음 그 이미지가 어떻게 되었는지 알 수 없었다. 그래서 언제나 같은 장면을 세 번 찍곤 했다. 감으로 노출 조금 과다, 노출 조금 부족, 그리고 최선이다 싶은 상태, 이렇게 세 번을 찍었다. 집에 돌아오면 가슴이 설렜다. 잘 찍혔을까? 하는 마음에. 다음 날 출근길에 가게에 가서 필름을 맡겼다가 오후에 가서 현상된 상태를 봐야 확인할 수 있었다. 앗, 망쳤다! 하면서 뒤통수를 탁 치곤 했다.
쪼는 맛을 사라지게 만든 디카
그러다가 ‘디카’가 나왔다. 찍은 다음 즉각 그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 것은 가히 혁신이었다. 그러자 이른바 ‘쪼는 맛’이 사라졌다. 화투 ‘섰다’ 놀이에서 두 장을 받아들고 한 장을 먼저 확인한 다음 그 다음 장이 과연 무엇인지 극도로 조심스럽게 엄지로 조심스럽게 밀어 까보는 재미 말이다. 그런 맛이 사라지자 한동안 사진 찍는 재미 자체가 없어질 정도였다. 이게 뭔!
환경의 제약은 창의성을 기른다.
좋은 사진을 찍기란 참으로 어렵다. 아니 어려웠다. 그래서 어느 날 아버지께 그런 심정을 토로했더니 말씀하시길 “표준 렌즈, 52 밀리 렌즈로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없다면 줌이고 광각이고 다 안 되는 거야, 오로지 표준 렌즈만 써봐!”, 하셨다. (아버지 역시 카메라에 대단한 열정과 실력을 갖추신 분이셨다.)
순간 눈이 번쩍 뜨였다. 한정된 환경 속에서 창의성이 나온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피사체를 찾아내고 포착할 수 있어야 사진을 찍는 것이지 장비의 문제가 아니란 깨달음이었다. 그 이후 거창한 삼각대라든가 줌, 광각, 이런저런 필터 따윈 다 치워버렸다. 오로지 표준 렌즈만으로 피사체들을 찾아내고 찍고 다녔다. 1980년대 시절 시외버스를 타고 서울 교외 등지를 열나게 돌아다녔다.
스마트폰 카메라가 나오자 어이 상실
그런데 세상은 또 변해서 스마트폰이 나왔고 그 물건 안에 좁쌀만한 렌즈와 카메라 프로그램이 내장되었다. 젊은 친구들과 아줌마들이 마구 찍고 돌아다녔다. 그러더니 페이스북에 사진을 올려 자랑질을 해대기 시작했다. 어이가 없었다. 그냥 누르기만 하면 되는 카메라 세상이 시작되었다.
게다가 포토샵이란 괴물이 또 등장했다. 보는 순간 으악! 했다. 이제야말로 기술 즉 예술의 시대가 끝이 났구나 싶었다. (예전에 IT에서 ERP가 나왔을 때 이제 일자리는 다 날아가겠구나 하는 충격과 비슷했다. 물론 사실로 확인되었다.)
솔직히 말해서 화가 났다, 예전에 시시각각 변하는 빛의 상태에 맞추기 위해 수 백 개의 셔터와 노출 조합을 외우고 다녔건만 그게 다 쓸모가 없어졌을 뿐 아니라 즉각 찍어서 페이스북에 올리다니, 저 무식(?)한 것들이 별 짓을 다 하는구나! 싶었다. 아울러 대충 찍은 사진을 포토삽으로 갖은 조미료를 다 쳐서 그럴듯한 이미지를 창출하고 있으니 구역질이 날 정도였다.
나 호호당이 스마트폰을 사지 않은 이유 중에 하나가 카메라의 엄청난 민주화에 대한 반발과 저항감이었다. 올드 보이! 물론 2000년대 초반 사업할 당시 맨날 받는 전화가 돈 독촉이었기에 질려서 던져 버린 이후 사지 않았지만 말이다.
그러자 솔직히 사진예술 한다는 사람들은 굶어죽게 생겼다. 나 호호당이야 취미라 하겠으나 업으로 하는 이들은 그야말로 생존의 문제가 되었다. 그래서 어떻게 하는지 지켜보았다.
사진작가들 중에 일부는 포토삽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도 했고 때론 보수파로 남아서 더욱 정면 승부를 택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다수가 굶어죽은 것으로 알고 있다. (한동안 컴퓨터 프로그래머들이 일용직 취급받던 시절이 있었는데 사진작가 역시 그랬었다.)
물론 사진은 예술의 한 영역으로 인정받기에 평론가들, 대학에서 가르치는 권위 있는 사람들의 막강한 비호가 있긴 하다. 사진 한 장 놓고 별의 별 철학과 담론을 올려서 마치 엄청난 작품인양 부풀림을 해주고 있다. 뭐 좋다, 다 ‘먹고살리즘’의 영역이니 이해한다.
대충 찍는 사진, 허무주의
스마트폰 카메라가 나온 이후로도 나는 니콘 디카를 들고 대충 찍었다. 포토샵으로 보정하면 되니 말이다. 사진에 대한 일종의 경외심은 몽땅 사라지고 말았다. 그까짓 이미지, 이미지는 어차피 虛像(허상) 아닌가! 하면서. 그냥 심심풀이 정도로 취급했다. 때론 상실에 대해 가슴이 아프기도 했다.
한동안은 좋은 곳에 가거나 생활 속에서 좋은 이미지를 포착해도 카메라를 찾지 않았다. 찍어본 들 헛것이란 생각 때문에. 그냥 좋은 것이 있으면 눈에 담아두는 정도였다.
그런데 어느 날인가부터 본격적으로 눈으로 이미지를 담기 시작했다. 이미지는 기억이 되고 기억은 시간이 지나면서 왜곡이 된다. 그런데 그 왜곡된 이미지는 더 나아가서 추억이 된다. 내 삶의 한 때에 대한 추억. 그리고 그 추억은 내가 소멸하면 함께 사라져버릴 것이고 세상은 여전히 그냥 있을 것이다.
합천 해인사 법당은 대적광전이다. 寂光(적광)이란 말, 사전에 이르길 “모든 번뇌를 끊고 적정(寂靜)한 열반의 경계로 들어가 발휘하는 참된 지혜의 빛”이라 되어 있다.
참 번잡한 설명이라 여긴다. 게다가 그냥 적광도 아니고 대적광이라 하니 더욱 그렇다. 부풀림이 과하다. 이렇게 비유해보자, 조용하고 어둑하고 텅 빈 방에 들어가 앉아 있노라면 닫아놓은 창틀 사이로 들어오는 두어 줄기 빛이 공중에 부유하는 먼지와 부딪쳐서 희부옇게 산란한다. 그 정도로 이해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 (중죄를 짓고 감옥 1인실 방에 갇혀서 있다 보면 그러지 않을까 싶다. 어차피 놀 수도 없고 즐길 수도 없으니 번뇌에서 벗어나 적광만이 있을 것이다.)
사진 찍는 일에서 눈으로 담는 일로 바뀌고 그 기억은 추억이 되었다가 마침내 나와 함께 無化(무화)될 것이니 그 자리엔 그저 두어 줄기 寂光(적광)이 남아 있으면 충분하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이었다.
그런 내가 스마트폰을 샀으니 허 참!
그런데 최근에 그러니까 7월에 스마트폰을 샀다. 나로선 일대 사건이다. 사게 된 까닭은 명확하다. 아들이 함께 가서 데이터 무제한으로 해서 사줬다.
첫째, 택시를 부르기 위함이었다. 작업실이 있는 강남역 일대에서 지나치는 택시를 잡기가 너무나도 어렵기 때문에 택시 콜 앱을 쓰기 위함이다. 결과는 만족이다.
둘째, 그림 소재로서의 이미지를 카메라로 찍기 위함이다. 웃긴다, 내가 생각해도. 앞에서 적광 운운하던 사람이 갑자기 열나게 사진을 찍어대기 시작했으니 어이가 없다. 아들이 흔들리지 않게 하는 손잡이도 마련해줬다.
셋째, 외출 중에 비상용 연락을 위해서다. 문자나 카카오톡으로 연락할 수 있으니 좋다. 스마트폰 번호를 어지간해선 알려주지 않기에 걸려오는 전화도 거의 없다. 전부 무음 처리해 놓은 탓에 걸려온 전화는 나중에 확인하고 내가 걸면 된다. 20분 간격으로 폰을 열어본다.
최근 올린 그림들은 폰 카메라로 찍은 것들이 많다. 그러니 폰 잘 쓰고 있는 셈이다.
그러면 이제 늦었지만 그림에 대한 내 생각을 얘기해볼 차례가 되었는데 분량 상 다음 글에서 마무리하겠다.
'호호당의 雜學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장마에 연밭을 떠올리다. (0) | 2021.08.27 |
---|---|
그림에 대한 호호당의 생각 (하편) (0) | 2021.08.16 |
도깨비불에 대한 추억 (0) | 2021.07.08 |
비오는 밤에 莊子(장자)를 읽다가 (0) | 2021.05.31 |
봄비 오는 날, 허튼 생각에 빠지다 (0) | 2021.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