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정원에 수유 만발하고 곳곳에 매화도 피어나는데 오늘은 비바람이 제법 거세다. 흥취가 일어서 잠시 산책을 나갔더니 갈피 없는 바람에 우산을 가누지 못한다.
겨울 지나가고 봄이 와서 저처럼 宛然(완연)하고 또 蔓延(만연)하다. 해마다 있는 일이다. 하지만 세상에서 가장 대단하고 경이로운 일이다.
겨울은 죽어가거나 죽음의 때이고 봄은 다시 蘇生(소생)과 復活(부활)의 때이다. 삶에서 죽음으로의 과정은 돌이킬 수 없는 일, 즉 非可逆(비가역)적이건만 자연은 겨울을 보내고 봄을 만들어놓는다.
며칠 전 “사람도 꽃처럼 돌아온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하는 제목의 기사를 읽었다. 2019년에 개봉된 ‘찬실이는 복도 많지’란 영화 속 대사라고 한다.
구례 화엄사에 홍매가 피었다는 소식, 수백 년 세월 동안 봄이면 회춘(回春)해 싱싱한 꽃으로 다시 돌아오는 매화의 얘기를 하면서 앞의 말과 대조시키고 있었다.
그게 그렇다. 사람은 한 번 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그런데 꽃은 되돌아온다. 그래서 슬프다.
하지만 이건 우리들의 착각이다. 꽃 또한 작년에 피었던 꽃은 다시 피어나지 않는다. 올 해 피어난 꽃은 또 다른 꽃일 뿐이다. 꽃 또한 한 번 지면 되돌아오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호호당 김태규”란 자는 한 번 가면 다시 되돌아오는 법이 없다. 하지만 호호당과 비슷한 자는 인류가 이어지는 한 다시 태어날 것이고 또 죽어갈 것이다.
삶의 모든 기쁨과 슬픔은 결국 우리가 자기 자신, 즉 自我(자아)를 강하게 인지하고 인식하기에 가능하다.
개체로서의 자각, 즉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있는 한 사람도 꽃도 되돌아오지 않는다, 그 무엇도 되돌아오지 않는다.
사실 이 얘기는 멀리 갈 것 없이 불교에서 말하는 諸法(제법)이 無我(무아)하다는 것과 일치한다.
그래서 나 호호당은 이 가르침이 싫다. 삶은 단 1회의 기회이자 공간이고 시간이기에 애틋하다. 모든 것이 변해가고 흘러갈 뿐이라면 그게 맞는 말인지는 몰라도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이 대목에서 나 호호당은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를 떠올린다. 길이 든 서로에게 있어 어린왕자와 장미는 세상에 둘도 없는 하나밖에 없는 존재들이다. 삶에 대한 집착이 어리석은 迷妄(미망)일 수 있겠지만 그래도 나 호호당은 하나밖에 없는 것들을 사랑한다. 나도 하나뿐이고 당신도 하나뿐이다. 물론 되돌아오지 않는다. 그래서 삶은 아름답고 슬프다.
창밖을 보니 여전히 風雨(풍우)가 휘젓고 다닌다. 2024년 봄의 정취이다. 갑자기 눈가가 촉촉해온다.
'호호당의 雜學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을 따라 삶도 흘러갔으니#2. (0) | 2024.06.28 |
---|---|
길을 따라 삶도 흘러갔으니 #1. (0) | 2024.06.25 |
전통 문화라는 것, 그리고 그 상실에 대하여 (0) | 2023.09.08 |
우리 대한민국의 강점과 약점 (0) | 2023.06.16 |
여수 가막만에서 風雨(풍우)를 즐겼으니 (0) | 2023.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