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五行에 대하여
오행은 상대적인 것이다. 그래서 얼굴을 봐도 눈코입귀혀를 오행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 것이며, 맛도 그러하고, 심지어 산의 형태도 오행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에 대하여 강의를 해보았다.
'호호당 동영상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호당 김태규의 명리학 30회 - 나라의 순환 주기에 대하여 (0) | 2018.07.06 |
---|---|
호호당 김태규의 명리학 29회 - 오행五行에 대하여 下 (0) | 2018.07.03 |
호호당 김태규의 명리학 27회 - 오행五行에 대하여 上 (0) | 2018.06.28 |
호호당 김태규의 명리학 26회 - 음양陰陽에 대하여 下 (0) | 2018.06.14 |
호호당 김태규의 명리학 25회 - 음양陰陽에 대하여 (0) | 2018.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