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커져가고 있는 운명에 대한 서양인들의 관심
서양인들 역시 드러내놓고 얘기하지 않을 뿐 오래 전부터 점치는 것이나 운명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가져왔을 뿐 아니라 1960년대 이후 오히려 대폭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다. 과학의 시대이고 이성의 시대이건만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겠지만 현실은 전혀 그렇지가 않다.
서양에서 점이나 운명에 대한 관심이 늘어난 결정적인 원인은 서유럽의 경우 기존의 전통 신앙인 기독교가 현저하게 퇴조해가고 있기 때문이라 하겠다. 이탈리아나 프랑스와 같은 가톨릭 국가들도 상황은 마찬가지이고, 미국 역시 개신교의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점치는 일이나 자신의 운명에 대한 관심은 예전에 비해 더 늘어났다.
한 해의 작황에 대해 관심과 우려가 많은 시골 농부에서부터 분 단위로 매순간 전쟁을 치러야 하는 월가의 펀드 매니저나 트레이더에 이르기까지 현실은 늘 불안한 것이기에 미래에 대한 자그마한 단서라도 엿볼 수만 있다면 기꺼이 그럴 마음이 있다는 점에 있어 아무런 차이가 없다. 정치인들 역시 마찬가지이다.
Fortune-telling 그리고 Divination
서양에선 운명에 관해 알아보거나 점치는 것을 보통 ‘fortune-telling’ 이라 하고 좀 더 전문적인 말로는 ‘divination’ 이라 한다. 또 이런 현상을 놓고 일반적으로 오컬티즘(occultism), 즉 神秘主義(신비주의)란 표현을 사용한다.
점치는 방법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다. 수백 가지가 아니라 수천 가지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참으로 신기한 점치는 방법들
그 중에서 실로 희한하다 싶은 방법, 즉 점법에 대해 열 가지만 먼저 소개해본다.
쥐의 울음소리를 듣고 행운을 점치는 쥐 울음점이 있고, 수탉이 모이를 쪼는 것을 보고 길흉을 점치는 닭점이 있으며, 매일 먹는 식빵의 맛과 향으로 점을 치는 빵점이 있다. 그런가 하면 진주 구슬을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따뜻하게 한 다음 그 모습으로 점을 치는 진주점이 있다. 또 시골에선 쇠똥구리가 똥을 마는 방식을 보고 점을 치는 쇠똥구리점이 있다.
더 얘기해보면 위장의 꾸르륵 소리로서 점을 치는 배점이 있고, 장작불이나 촛불 등이 타오르는 모습으로 점을 치는 불점, 그리고 우리나라에도 제법 널리 알려져있는 것 중에 하나로서 수맥을 찾을 때 술사란 사람들이 이상한 작대기를 들고 다니는 것을 텔레비전 등에서 보셨을 것이다. 이게 바로 작대기점이다. 그리고 연기가 피어오르는 모습을 점을 치는 연기점도 있다.
희생양(scapegoat)의 유래가 된 창자점
아주 오랜 전통을 가진 점법으로 무언가를 기원하는 제의를 올릴 때 바치는 희생양이나 기타 동물의 창자 특히 간의 형태를 보고 점을 치는 내장점 혹은 창자점이 있다.
이런 점법은 고대 중동지방에서 시작된 것으로 고대 로마 제국 시절의 경우 국가의 공식 사제단 중에서 가장 지위가 높은 대제사장(Ponti Maximus)이 직접 거행하는 대단히 엄숙한 점법이었다. 카이사르의 양아들이 되어 훗날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가 된 아우구스투스는 양아버지의 후원으로 얻은 최초의 공식 직함이 바로 로마의 대제사장이었다.
로마에선 신에게 바치는 희생 동물이 주로 닭이었지만 예수가 태어난 중동 지방에선 일반적으로 양이었기에 희생양(scapegoat)이란 단어가 오늘날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占(점)이란 말의 유래
그런데 이쯤에서 占(점)이란 말의 유래에 대해 한 번 알아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 같다.
고대 중국의 왕조였던 殷(은)나라 시절엔 국가기관에서 많은 점을 쳤다. 당시는 왕이 세속적 권력이자 종교의 우두머리이기도 했던 까닭이다. 은나라 시절에 점은 주로 농사와 관련하여 언제 비가 내릴 것인지를 묻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점치는 관리들은 당시로서도 구하기 힘든 바다거북이의 등껍질을 구해와 구운 다음 거기에 나타난 균열을 보고 점을 쳤다. 이른바 거북점이다.
卜(복)이란 한자는 점치는 것을 뜻하는데 글자 모양은 바로 거북이 등껍질에 나타난 균열을 상징하고 있다. 균열이 나타나면 나름 전문가들이 해석을 하게 되는데 말이나 글로 표현하게 된다. 이게 바로 占(점)이란 글자이다. 균열이 된 卜(복)에 대해 입 口(구)를 더한 모습이다.
오늘날 중국 한자의 초기 원형으로 알려진 글자를 甲骨文字(갑골문자)라고 하는데 대부분 점친 결과를 등껍질에 새겨놓은 것이다.
서양의 전통에 대해 다음 글에서도 역시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드리고자 한다. 물론 점과 운명에 대한 동양의 전통과 문화에 대해서도 얘기할 기회가 있을 것이다.
'자연순환운명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명의 수레바퀴는 實在(실재)한다. (0) | 2018.04.09 |
---|---|
占(점)이란 무엇인가? (0) | 2018.04.05 |
트럼프 카드로 점치는 간단명료하고도 확실한 방법 (0) | 2018.04.03 |
운명이란 과연 무엇일까? (0) | 2018.03.29 |
새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0) | 2018.03.27 |